게으른열정부부의 일상 Blog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게으른열정부부입니다.

며칠전 은퇴 후 월 300만원 받기 위한 매월 납입금액 계산하기를 포스팅했습니다.

오늘은 조금더 심도있는 내용을 다뤄보겠습니다.

은퇴 시기에 지금 계산해놓은 연금소득이 과연 실질가치로 얼마나 될지에 대한 고려를 포함했습니다.


2025.03.25 - [일상생활 TIP] - 은퇴후 월 300만원 받기 위한 매월 납입금액 계산하기(2025년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 및 소득대체율 상승 반영)

 


은퇴 후 연금소득으로 월 300만원 받기 위한 매월 납입금액 계산하기(실질가치 기준 계산)


 

실질가치 기준으로 재계산

저번 포스팅에서 계산한 값에 연 2%의 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실질가치 기준으로 재계산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인플레이션 고려 결과 (실질가치 기준)

 

항목 금액 (원)
실질 목표 월 연금소득 (63세 시점 기준) 190.2만 원
실질 국민연금 수령 예상액 113.1만 원
실질 연금저축 필요 월 수령액 77.1만 원
실질 필요 총 연금저축 자산 1억 8,394만 원
📌 매월 실질 적립 필요 금액 46.6만 원

💬 요약

 

지금 300만 원의 명목 연금소득은 은퇴 시점(23년 후) 물가 기준으로 약 190만 원의 실질가치입니다.

국민연금도 실질 기준으로 보면 약 113만 원 수준이므로,

연금저축은 월 77만 원의 실질 수령액을 목표로 준비해야 하며,

그에 따라 매월 약 46.6만 원을 23년 동안 적립해야 합니다.

 

🔍 정리: 명목 vs 실질 비교


구분
명목 기준 실질 기준 (물가 2%)
목표 연금소득 300만 원 190만 원
연금저축 적립금 73.5만 원/월 46.6만 원/월
수익률 가정 연 3% 연 3%

 

 

현재 가치 300만원을 실질가치 300만원으로 계산할 경우?

 

현재 가치인 300만원으로 은퇴후 실질가치 300만원으로 계산할 경우 은퇴시점에 필요한 연금소득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실질 300만 원 연금소득을 목표로 할 경우

항목금액 (원)
은퇴 시점 필요 명목 연금소득 473만 원/월
예상 국민연금 수령 (명목 기준) 약 178만 원/월
연금저축으로 보완해야 할 금액 294.7만 원/월
필요 총 연금저축 자산 (63세 시점) 7억 260만 원
📌 매월 적립 필요 금액 (23년간) 178만 원/월

💡 해설

 

지금 기준 실질 300만 원의 연금소득을 23년 뒤에도 유지하려면, 물가상승률 2% 가정 시 실제로는 월 약 473만 원을 받아야 같은 구매력이 됩니다.

국민연금만으로는 부족하므로, 연금저축으로 약 294.7만 원을 보완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매달 약 178만 원씩 적립해야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매달 178만원의 적립은 매우 부담스러운 결과입니다.이럴 경우, 이를 조금은 도와주는 연금저축 + 퇴직연금 병행 전략이라던지, 연 4%이상의 수익률 달성 시나리오를 찾아보는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다음에는 어떻게 하면 퇴직연금 연금저축을 늘릴수 있을지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문의는 댓글 남겨주세요.


 

728x90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