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게으른열정부부입니다.
은퇴 후 월 300만원의 연금소득을 받기 위한 여러가지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있습니다.
시뮬레이션 결과, 국민 연금과 개인 연금, 얼마나 매월 납입을 해야하는지 공유드립니다.
은퇴후 월 300만원 받기 위한 매월 납입금액 계산하기
요즘은 첫 직장을 늦은 나이에 잡기도하고, 안정적인 직업을 가지려면 여러 기업에서 경력을 쌓고 옮기기도 합니다.
매우 보수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정을 했습니다.
국민연금 : 34~35세 취업(2018년도)
개인연금 : 40세 가입(2024년도)
은퇴 : 63세
은퇴 후 연금소득 월 300만원 받기
✅ 반영된 국민연금 제도 (2025년 기준 이후)
항목내용
보험료율 |
9% → 13% (2032년까지 점진 인상) |
소득대체율 |
40% → 43% |
기준소득월액 상한 |
5,530,000원 (2024년 기준) |
납부 기간 |
총 38년 (2018년~63세) |
예상 수령액 |
✅ 월 178.3만 원 정도 |
✅ 연금저축 보완 계획
항목값
목표 월 연금소득 |
300만 원 |
국민연금 수령 예상 |
약 178.3만 원 |
연금저축 필요 금액 (월) |
✅ 약 121.6만 원 |
총 필요 자산 (63세 시점) |
약 2억 2,952만 원 |
적립 기간 |
40세 ~ 63세 (총 23년) |
연 평균 수익률 가정 |
5% 복리 |
매월 적립해야 할 금액 |
✅ 약 45.1만 원 |
🧾 요약
국민연금 개편으로 예상 수령액이 약 65만 원 증가하여,
연금저축은 월 45만 원만 적립해도 목표 달성이 가능합니다.
23년간 매월 45만 원 적립 시, 연 5% 수익률로 은퇴 시점에 2.3억 원 이상 자산을 마련 가능하며,
이를 30년간 매월 121.6만 원씩 인출하는 구조입니다.
보수적으로 연 3%의 수익률로 본다면, 23년간 매월 약 70만원 적립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국민연금 계획을 포함 및 보수적인 시나리오 연 3% 수익률로 연금소득 300만원 받기
✅ 목표 요약
목표 월 연금소득: 300만 원
수령 시작 연령: 63세
수령 기간 가정: 30년 (63세~93세)
총 필요 자금: 300만 원 × 12개월 × 30년 = 약 10억 8천만 원
✅ 1.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2025년 개편 반영)
항목 |
내용 |
생년 |
1985년생 (현재 40세) |
가입 시작 |
2018년 (당시 33세) |
납입 기간 |
총 38년 (2018~63세) |
기준소득 |
상한 기준 (월 553만 원) |
보험료율 |
2025년부터 13%로 단계 인상 |
소득대체율 |
43%로 인상됨 |
예상 월 수령액 |
약 178.3만 원 📈 |
✅ 2. 연금저축을 통한 보완 목표
300만 원 – 국민연금 178.3만 원 = 연금저축으로 121.7만 원 보완 필요
연금저축에서 월 121.7만 원 × 12개월 × 30년 = 약 4억 3,800만 원 필요
✅ 3. 연금저축 가입 및 적립 계획 (보수적 시나리오)
가정:
적립 기간: 40세부터 63세까지 → 총 23년
수익률 가정: 연 3% (보수적)
💰 매월 얼마씩 적립해야 할까?
미래가치 FV = 약 4.38억
기간 = 23년, 수익률 = 연 3%
매월 적립금 = 약 73.5만 원
📌 월 약 73.5만 원씩 연금저축펀드 또는 IRP에 23년간 꾸준히 납입하면 은퇴 시점에 필요한 연금자산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 절세 전략도 활용하세요!
연금저축 세액공제
연간 400만 원 납입 시 최대 66만 원 세액공제
23년 동안 약 1,500만 원 이상 절세 효과
IRP 병행 시 한도 상향
연금저축 + IRP = 최대 700만 원 세액공제 가능
✅ 계획 요약
항목 |
내용 |
목표 월 연금소득 |
300만 원 |
국민연금 수령 예상 |
178.3만 원 |
연금저축 목표 |
121.7만 원 |
연금저축 필요 자산 |
약 4.38억 원 |
적립 기간 |
40세 ~ 63세 (23년) |
월 적립금 |
약 73.5만 원 |
수익률 가정 |
연 3% (보수적 시나리오) |
이 결과에서는 은퇴 후 실질가치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음에는 실질가치가 포함된 내용을 가지고 다시 정리해보겠습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문의는 댓글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