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른열정부부의 일상 Blog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게으른열정부부입니다.

연금저축, 퇴직연금 막연히 넣고 계시지 않나요?

나중에 어떻게 지급 받을 수 있는지 요약 정리 해보겠습니다.


연금저축, 퇴직연금(IRP) 지급 방법 및 옵션 정리


 

퇴직연금(IRP)과 연금저축의 지급방법 차이점과 공통점

 

📌 공통점

  1. 연금 지급 가능: 두 계좌 모두 일정 연령(보통 만 55세 이상) 이후 연금 형태로 수령할 수 있음.
  2. 세제 혜택 유지 조건: 연금 형태로 수령해야 세율이 낮은 **연금소득세(3.3~5.5%)**를 적용받을 수 있음.
  3. 다양한 지급 방식 선택 가능: 가입자가 정해진 연금 지급 방식(정기 연금, 일정 기간 지급 등)을 선택할 수 있음.
  4. 일시금 수령 가능: 필요에 따라 일시금으로 받는 것도 가능하지만, **일시금으로 받으면 기타소득세(16.5%)**가 부과될 수 있음.

 

📌 차이점

항목 퇴직연금(IRP) 연금저축
가입 대상 근로자 및 자영업자 누구나 가입 가능
납입 가능 한도 연 1,800만원 (연금저축 포함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연 600만원 (IRP 포함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수령 방식 연금 지급 또는 일시금 수령 가능 연금 지급 또는 일시금 수령 가능
연금 지급 가능 기간 평생 연금 가능 또는 일정 기간 선택 가능 일정 기간 선택 가능 (평생 연금 옵션 없음)
세금 부담 차이 퇴직소득세 또는 연금소득세 적용 연금소득세 적용
의무가입 여부 근로자는 퇴직금 수령을 위해 가입 필수 개인이 자율적으로 가입

 

반응형

 

📌 핵심 정리

  • IRP는 퇴직금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이 강하며, 연금 지급 외에도 퇴직소득세를 감안한 일시금 수령이 가능함.
  • 연금저축은 자발적 노후 준비용 상품으로, 평생 연금 지급 옵션이 없고, 설정한 기간 동안만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음.
  • 두 계좌 모두 연금으로 수령하면 **연금소득세(3.3~5.5%)**가 적용되지만, 일시금으로 받을 경우 세금 부담(16.5%)이 커질 수 있음.

👉 따라서, IRP는 퇴직금 및 노후 대비용, 연금저축은 개인이 추가로 노후 대비하는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문의는 댓글 남겨주세요.


 

728x90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