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른열정부부의 일상 Blog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게으른열정부부입니다.

연금저축 가입 후 일정부분 연금소득을 받기 위해서 납입해야하는 금액에 대한 간단한 계산을 해봅시다.

40세에 연금저축을 처음 가입하고, 은퇴 후 300만원 연금소득을 받기 위해서는 얼마나 납부를 해야하는지..

 

2025.03.18 - [초보 주식 이야기] - 연금저축, 퇴직연금(IRP) 지급 방법 및 옵션 정리

2025.03.18 - [초보 주식 이야기] - 2025년도 연금저축 및 퇴직연금 IRP 바뀐 점(세액공제, 납입한도등)

 

 


40살에 연금저축가입하고 은퇴 후 300만원 연금소득 받으려면?


 

 

 

이런 계산은 여러 가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아래는 단순화한 모델에 따른 예시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가정을 둡니다:

  • 적립 기간: 40세부터 60세까지, 즉 20년
  • 연금 수령 기간: 60세부터 85세까지, 약 25년 (수령기간은 예상 수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적립 시 연평균 수익률: 6%
  • 연금 수령 시 연환산 지급률(연금 전환율): 4%
1. 은퇴 시 필요 자산(일시금) 계산

 

매월 300만원, 즉 연 3,600만원의 연금소득을 25년 동안 4%의 연금환산률로 수령한다고 가정하면, 은퇴 시점에 필요한 누적 자산(PV)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즉, 약 5억 6,250만원의 자산이 필요합니다.

 

 

2. 매년 납입해야 할 금액 계산

 

20년 동안 매년 일정 금액을 납입하여 5억 6,250만원을 모으기 위해, 연금 적립의 미래가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즉, 연간 약 1,529만원을 납입해야 하며, 월로 환산하면 약 1274,000원(약 127만원) 정도가 됩니다.


결론

현재 40세에서 60세까지 20년간 매년 약 1,529만원 (월 약 127만원)을 6%의 연 수익률로 적립한다고 가정할 때, 은퇴 후 25년 동안 매월 300만원의 연금소득(연 3,600만원)을 4%의 연금환산률로 받기 위해 필요한 누적 자산 약 5억 6,250만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주의:

 

실제 투자수익률, 연금환산률, 수령기간, 인플레이션, 수수료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연금저축과 IRP의 세제 혜택 한도(예: 연금저축 최대 600만원, IRP 최대 300만원)는 이 계산과 별도로 고려해야 하므로, 실제 납입액은 세제 혜택을 받기 위한 범위 내에서 달리 설정될 수 있습니다.

보다 정확한 계획을 위해서는 금융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계산은 단순한 모델을 바탕으로 한 예시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문의는 댓글 남겨주세요.


 

728x90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